현재 주가지수의 위치 (S&P500, DOW, NASDAQ, KOSPI)
우선, 구글 파이낸스에서 살펴본 미국 주가지수 (S&P500, DOW, NASDAQ)와 한국 주가지수 (KOSPI)의 수치적인 현재 위치입니다. 전고점 대비해서 하락률이 거의 다 회복되었나 싶었지만, 하락이 시작하고 전고점과 전저점을 52주 최고가와 52주 최저가로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고점이 52주 전보다 더 이전이기에 전고점보다 더 낮은 지점을 최고가라 여기고 계산이 됩니다. 실제로 S&P500의 경우를 살펴보면, 전고점이 4,818.62로 2022.01.04. 에 도달했습니다. 그런데, 52주는 약 1년으로, 2022.01. 은 지금으로부터 1년보다 더 전입니다.
현재가 | 52주 최고가 | 전고점 대비 하락률 | 52주 최저가 | 전저점 대비 상승률 | 전고점 대비 전저점 | |
S&P500 | 4191.98 | 4325.28 | -3.08% | 3491.58 | 20.06% | -19.28% |
DOW | 33426.63 | 34712.28 | -3.70% | 28660.94 | 16.63% | -17.43% |
NASDAQ | 12657.90 | 13181.09 | -3.97% | 10088.83 | 25.46% | -23.46% |
KOSPI | 2557.08 | 2685.90 | -4.80% | 2134.77 | 19.78% | -20.52% |
S&P500 지수의 현 위치
제가 바라봤을 때의 S&P500은 현재 바닥을 다지고 있는 단계로 계속해서 매수해서 적립해나가야하는 위치입니다. 아래 그래프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RSI | MACD | 이동평균선 | |
일봉 | 상승 후 단기 조정 중 | 바닥, 매수신호 | 5,20,60,120일선 정배열 매수 신호 |
주봉 | 상승 후 단기 조정 후 바닥 매수신호 |
상승 중 | 골드크로스 20일선이 60,120일선 교차 |
월봉 | 매수신호 | 바닥, 곧 매수신호 | 상승 중 |
일봉과 주봉은 모두 바닥을 지나서 상승세에 접어들었다는 모습입니다. 월봉의 경우에는 RSI, MACD와 이동평균선이 다소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RSI와 MACD는 바닥을 지나가고 상승 초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에 이동평균선은 애초에 하락에 큰 추세는 영향을 받지 않는 느낌입니다.
TIGER S&P500의 현 위치
우리가 이 S&P500 지수에 투자할 때는 환노출 상품이나 직접 투자를 할 경우 환율의 영향도 함께 받게 됩니다. 환노출 상품은 과연 어떤 추세를 보여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IGER S&P500을 살펴보면, 일봉은 RSI와 MACD 측면에서 한참 하락 중에 있습니다. 반면 주봉은 RSI는 꼭지에서 하락을 시작했다고 알려주고 있고, MACD는 아직은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이제 막 20일선의 골든크로스로 상승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월봉 기준으로 살펴보면, RSI는 바닥에 가깝지만 아직 하락추세 중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MACD와 이동평균선은 이 종목이 상장된 지 오래되지 않아 과거 기록이 짧다 보니 제대로 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TIGER S&P500과 S&P500지수의 차이의 원인, 환율
이렇게 TIGER S&P500이 단기 하락을 보여주고 있는 이유는 환율에 있을 것입니다.
환율의 RSI를 살펴보면 굉장히 명료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봉, 주봉, 월봉 RSI가 모두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나 주봉과 월봉은 하락의 초입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환헷지 된 S&P500 지수 추종 ETF
환율까지 종합해봤을 때 현재는 S&P500 지수에 투자할만한 좋은 시기이지만, 이왕이면 환헷지가 된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S&P500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환헷지 ETF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ARIRANG 미국S&P500(H)
- KOSEF 미국S&P500(H)
- KODEX 미국S&P500(H)
- KBSTAR 미국S&P500(H)
이렇게 네 가지 종목이 환헷지 된 S&P500 지수 추종 ETF입니다. 이 중에 오늘 기준으로 가장 거래량이 높은 종목은 KBSTAR 미국S&P500(H)입니다. 하지만, 거래량이 KBSTAR 다음으로 높은 KODEX 미국 S&P500(H)을 거래해본 경험상, 거래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살 때는 유동성공급자인 LP에 의존해서 비싸게 사고, 팔 때도 LP에 의존해서 저렴하게 팔아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헷지된 S&P500 지수 추종 ETF 투자에는 신중해야 합니다. 거래량 부족으로 인한 괴리율이 환율에 의한 손해 (환차손)와 크게 차이가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DC, IRP 계좌로 투자할 수 있는 ETF 종목 (KODEX TRF3070) (0) | 2023.05.26 |
---|---|
2023.05.23. 금 가격의 현재 위치 (골드) (0) | 2023.05.23 |
주식 정액 자동 적립식 투자 방법 (미래에셋증권 주식 적립식) (0) | 2023.05.20 |
대표적인 분산투자 방법(영구포트폴리오, 올웨더포트폴리오 - 퀀트투자) (0) | 2023.03.19 |
[해외REITs] 미국 주요 아파트먼트 리츠 현재 위치 2023.02.04. (MAA, EQR, ESS, AVB) (0) | 2023.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