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마지막 주 탄핵 찬성 집회 행사 안내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모여 촛불을 드는 문화제가 2월 마지막 주에도 계속됩니다. 이번 주에는 강연, 공연, 다큐 상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열리는 이번 촛불문화제는 탄핵을 원하는 시민들이 함께 모여 목소리를 내는 자리입니다. 직접 참여해 발언을 하거나 공연을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2월 26일 (수) 강연의 날
정치·사회 분야의 전문가 강연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를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 강연자: 김준형 국회의원
✅ 주제: 촛불이 이겼다! 이제 민주평화자주의 새로운 나라로 가자!
✅ 내용:
- 촛불 혁명의 의미와 성과
-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방향
- 국민의 주권 강화 방안
정치와 사회 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에게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2월 27일 (목) 공연의 날
이날은 다양한 공연이 펼쳐집니다. 특히 3.1절을 기념하는 독립군 뮤지컬 갈라콘서트가 진행됩니다.
✅ 공연 1: 극단 경험과상상
- 3.1절 기념 독립군 뮤지컬 갈라콘서트
- 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감동적인 공연
✅ 공연 2: 오카리나 듀오 김문정 & 임소영
- 평화와 자유를 주제로 한 오카리나 연주
공연을 통해 역사와 현재를 연결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2월 28일 (금) 다큐 상영의 날
탄핵 촛불집회 이후 다큐멘터리 영화가 상영됩니다. 유튜브 송출 없이 현장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 상영작: WARmerica의 운명 2편
✅ 내용:
-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에서 벗어나려는 세계 각국의 움직임
- 패권주의에 대한 저항과 대안 모색
국제 정세와 한국의 미래를 고민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시민 발언 및 공연 신청 방법
시민 누구나 촛불문화제에서 발언하거나 공연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 신청 링크 클릭 후 신청서 작성
📩 공연 신청자는 영상을 촬영하여 jhhaengdong@gmail.com 으로 제출
📌 신청 시 작성할 내용
- 시민 발언: 발언 주제와 내용 간략히 작성
- 공연: 공연 영상 첨부 및 공연 내용 설명
행사 일정 및 장소
📍 행사 시간
- 평일 저녁 7시
📍 행사 장소
- 헌법재판소 인근 안국역 1번 출구 (열린송현녹지광장 입구)
📍 주최 및 후원
| 주최 | 촛불행동 |
|------|--------|
| 후원 계좌 | 신한은행 100-036-164860 촛불행동 |
| 페이팔 | paypal.me/candlemove |
| ARS 후원 | 060-707-3300 (한 통에 1만 원, 여러 번 가능) |
관련 캠페인 및 서명 운동
🔥 윤석열 파면 국민명령
👉 서명하기
🔥 국힘당 해체 서명 운동
👉 서명하기
🔥 내란특별법 국민서명
👉 서명하기
결론
2월 마지막 주 촛불문화제는 강연, 공연, 다큐 상영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탄핵을 원하는 시민들이 모여 헌법재판소 앞에서 민주주의를 외치는 자리입니다. 직접 발언하거나 공연을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참여 방법은 간단합니다. 저녁 7시, 안국역 1번 출구로 오시면 됩니다. 국민의 힘으로 변화를 만들기 위해 많은 분들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탄핵 찬성 집회 FAQ
Q. 탄핵 찬성 촛불집회는 어디에서 열리나요?
A. 촛불집회는 헌법재판소 인근 안국역 1번 출구 (열린송현녹지광장 입구) 에서 매일 저녁 7시에 열립니다.
Q. 시민 발언이나 공연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A. 신청 링크 를 통해 발언 및 공연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연자는 공연 영상을 메일(jhhaengdong@gmail.com)로 제출해야 합니다.
Q. 집회 참가비가 있나요?
A. 참가비는 없습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후원을 통해 촛불집회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Q. 3월 이후에도 촛불집회가 계속되나요?
A. 네, 촛불집회는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할 때까지 매일 계속될 예정입니다.
'생각나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경찰청 오동운 공수처장 긴급체포 촉구집회 (0) | 2025.02.25 |
---|---|
증권사별 공식홈페이지 | 고객센터 전화번호 (0) | 2025.02.25 |
2025년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 주요혜택 | 사용가능 공연 전시 (0) | 2025.02.25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신청방법 | 자격조건 | 한도 비율 | 금리 | 기간 상환방식 (0) | 2025.02.25 |
GO SEOUL (고 서울) 서울시 통합 대중교통 적용범위 | 기후동행카드 연계 (1) | 2025.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