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국가보안법 전과자 명단
국가보안법 위반 전과를 가진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은 총 23명입니다. 이들은 과거 학생운동, 민주화운동, 반미 운동 등의 이유로 국가보안법 위반 판결을 받았습니다. 특히, 86세대(1960년대생~1970년대 초반생) 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가보안법 전과를 가진 국회의원 명단과 그들의 과거 행적을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
국가보안법 전과를 가진 22대 국회의원 명단
국회의원 총원 300명 중 약 7.6%에 해당하는 23명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바 있습니다.
번호 | 이름 | 소속 정당 | 출생연도 | 전과 내역 |
---|---|---|---|---|
1 | 이학영 | 더불어민주당 | 1952년생 | 국가보안법 및 반공법 징역 5년, 강도상해 징역 3년 6월 등 |
2 | 윤후덕 | 더불어민주당 | 1957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등 |
3 | 이용선 | 더불어민주당 | 1958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 등 |
4 | 최형두 | 국민의힘 | 1962년생 | 국가보안법 및 폭력 등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 |
5 | 김남근 | 더불어민주당 | 1963년생 | 국가보안법 및 집시법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2년 |
6 | 박선원 | 더불어민주당 | 1963년생 | 국가보안법 및 폭력 등 징역 3년 |
7 | 정태호 | 더불어민주당 | 1963년생 | 국가보안법 및 공문서위조, 집시법 징역 4년 등 |
8 | 김민석 | 더불어민주당 | 1964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1년 6월, 정치자금법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 등 |
9 | 김종민 | 무소속 | 1964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 |
10 | 서영교 | 더불어민주당 | 1964년생 | 국가보안법 및 집시법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
11 | 이인영 | 더불어민주당 | 1964년생 | 국가보안법 및 집시법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
12 | 김태년 | 더불어민주당 | 1965년생 | 국가보안법 및 공직선거법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등 |
13 |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 1965년생 | 국가보안법 및 집시법, 화염병, 폭력 등 징역 2년 |
14 | 조국 | 조국혁신당 | 1965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
15 | 오기형 | 더불어민주당 | 1966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등 |
16 | 이연희 | 더불어민주당 | 1966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2년 6월, 공직선거법 징역 1년 |
17 | 진성준 | 더불어민주당 | 1967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3년, 공용물건손상 벌금 400만원 등 |
18 | 박홍근 | 더불어민주당 | 1969년생 | 국가보안법 및 폭력, 화염병 등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2년 |
19 | 송재봉 | 더불어민주당 | 1969년생 | 국가보안법 및 집시법 등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
20 | 윤건영 | 더불어민주당 | 1969년생 | 국가보안법, 폭력, 화염병 사용 등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
21 | 정춘생 | 조국혁신당 | 1969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
22 | 김성회 | 더불어민주당 | 1972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
23 | 박상혁 | 더불어민주당 | 1973년생 | 국가보안법 징역 10월 |
국가보안법 전과자들의 특징
1. 86세대 중심
이 명단에서 86세대(1960년대생 ~ 1970년대 초반생) 가 17명으로 가장 많습니다. 86세대는 민주화 운동과 반미 운동이 활발했던 시기에 대학을 다녔으며, 이 과정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은 경우가 많습니다.
2.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압도적
23명 중 19명(82.6%)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며, 조국혁신당 2명, 국민의힘 1명, 무소속 1명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과거 운동권 출신 정치인들이 민주당에 대거 포진해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3. 국가보안법 외에도 다양한 전과 기록
이들은 국가보안법뿐만 아니라 집시법 위반, 화염병 사용죄, 폭력, 공직선거법 위반 등 여러 전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결론
이번 제22대 국회에서 국가보안법 전과를 가진 의원이 23명이나 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특히, 과거 학생운동을 했던 86세대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민주화 운동뿐만 아니라 반미 운동, 사회주의 운동 등을 주도한 이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국민들은 이러한 전과 기록을 바탕으로 이들이 국정 운영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가보안법을 둘러싼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며, 이들의 정치 행보가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제22대 국회의원 국가보안법 전과자 FAQ
Q. 국가보안법 전과를 가진 국회의원은 몇 명인가요?
A. 총 23명의 국회의원이 국가보안법 위반 전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각나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광주 G-패스 신청방법 | 할인율 | 신청대상 | K-패스와 차이점 (0) | 2025.02.26 |
---|---|
2025 단통법 폐지 시기 | 효과 | 전후 비교 (0) | 2025.02.26 |
3월 공매도 재개 예상되는 변화 | 영향 (0) | 2025.02.25 |
서울경찰청 오동운 공수처장 긴급체포 촉구집회 (0) | 2025.02.25 |
증권사별 공식홈페이지 | 고객센터 전화번호 (0) | 2025.02.25 |
댓글